전시를 더 깊이 있게 관람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작품 옆 글들에 다 담지 못한 이야기와

연결된 링크로 아티스트의 더 많은 작품도 볼 수 있습니다


작품을 관람하면서 아래 글들을 함께 읽어보세요




S#1
첫 번째 공간
교 실
대본 뒷편에 설치 작품부터 관람하세요


진솔ㅣ회화

Yellow mountain

150x200cm | 2020 | Digital print

Yellow book

17x40cm | 2020 | mixed media

Blue book

17x40cm | 2020 | mixed media

Yellow book

15x20cm | 2020 | mixed media

Portrait 

100x160cm | 2020 | mixed media


20대 초반의 소미에게

 우리들은 장소들로 가득한 공간에 살고 있다. 작가는 인간과 공간의 관계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해, ‘공간’을 주제로 작업해왔다. 공간은 생활과 사고를 지배하고, 공간의 정의는 이 잠재적 서사들을 읽어내는 것부터 시작한다. 작가는 작품 속에 공간을 구성해 과거와 현재의 기억을 구축하고, 색을 입히는 과정을 통해 감정을 부여한다. 

 이번 작품은 20대를 대변하는 한 청년에게서 영감을 받아 작업했다. 그녀를 닮은 노란색과 그녀에게 중요했던 것들, 듣고자 했던 말, 쌓인 기억들을 모아 한 공간 속에 보여주고자 한다. 모빌 속 그녀가 새겨진 거울은 우리를 비추고, 이는 우리가 겪어 왔고 지나가고 있는 모두의 이야기임을 암시한다. 그녀에게 중요한 것들이 모여 자신과 삶 자체를 이루고 있고, 모빌의 움직임처럼 잠시 흔들거리고 위태로워 보일 수 있으나 이는 균형을 맞춰가고 있는 과정일 뿐이다. 겹겹이 쌓여 하나의 그림을 구성하는 이 공간처럼 모두가 한 편의 그림 속 자신만의 페이지를 넘기고 있다. 


임정아ㅣ회화

Extraordinary person - s

72.7cm x 60.6cm | 2020 | Acrylic on canvas


20대 초반의 소미에게

“특별할 것 없는 일상을 사는 평범한 사람인 나는 유명 인사의 모습을 그림으로써 모든 것을 뒤엎는 일탈을 꿈꾼다.”

 작가는 사람들 속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내 모습을 상상하며 물감을 뿌리고, 튀기고 긁어낸다. 그러다 보면 캔버스 위에 흩뿌려진 형형색색의 파편들이 한데 어우러지며 유명인의 얼굴로 드러난다. 이는 유명인의 모습을 대변하듯 화려하고 자극적이다. 작가는 그림 속 화려한 모습의 유명인처럼 주목받는 삶을 살고 싶은 본인을 유명인에 투영하여 그림을 그리기에, 본인의 작품은 유명인의 초상화라기보단 일탈 속 자신의 모습을 그린 자화상이라고 말한다. 그리는 행위 자체에서 즐거움과 특별함을 찾는 작가가 이번엔 유명인이 아닌 한 인물을 위해 붓을 들었다.

 작가는 뮤즈와의 대화를 통해 그가 내면엔 깊은 고민과 우울함을 안고 있지만 그럼에도 주변 사람들에겐 따뜻한 위로를 건네고자 하는 모습을 보았다. 정작 본인에게도 따뜻한 위로가 필요하지만, 남에게 따뜻한 위로를 먼저 건넬 줄 아는 사람. 이 양면의 모습에서 영감을 받아 모노톤과 따뜻한 색감의 양면적인 색채를 사용해 작품을 표현했다.


책상 위 가면을 쓰고

그림 앞에서 사진을 찍어보세요


정현동ㅣ회화

페르소나 Persona

91.0x116.8cm | 2020 | Acrylic on canvas


20대 중후반의 아라에게
 작가의 작품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인간관계를 다루고 있다. 우리는 타인과 원활한 관계를 맺기 위해 솔직한 감정과 불안한 심리를 숨기며, 외부의 상처로부터 내면을 지켜줄 ‘가면(persona)’을 지니고 살아간다. 작가는 이러한 가면을 ‘꽃’으로 형상화했다. 작가는 꽃이 오래전부터 여러 경조사 등에서 인간의 감정을 대신하는 매개체로 사용되었다는 점에 주목해, 감정을 대신하는 ‘아름다운 가면’으로 형상화했다.
 작가는 20대 중후반을 대변하는 뮤즈의 이야기를 통해,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지니고 살아가지만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꿈을 개척해 나가려는 의지와 열정을 보여주는 것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래서 꿈을 향해 나아가는 청춘들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첫 번째 작품은 연극배우를 꿈꾸는 뮤즈가 처음 무대에 섰던 날의 설렘과 긴장감을 재현하기 위해 모노톤의 배경에 노란색의 핀 조명의 효과를 더했다. 그리고 무대의 주인공이 된 그의 얼굴에 그가 평소 좋아하는 네롤리 꽃을 중첩해 본인의 색을 잃지 않고 무대에 나아가는 모습을 표현했다. 두 번째 작품은 그의 휴식처인 물가를 연상시키는 작품으로 편안한 표정의 얼굴에 그가 평소 좋아하는 바이올렛을 얼굴에 중첩해 표현하였으며, 작품의 배경은 과거의 어두운 색채부터 점차 밝아지는 색채로 희망적인 미래를 표현했다.


권아리ㅣ동양화

그대에게  72.7 x 116.8cm | 2019 | 장지에 채색

이름없는 들  53 x 41cm | 2020 | 장지에 채색

이름없는 들  53 x 41cm | 2019 | 장지에 채색

언덕   41 x 29cm  | 2020 | 장지에 채색

   91 x 61cm | 2020 | 장지에 채색

滿月  27.3 x 22cm | 2020 | 장지에 채색

길 위에서  53 x 41cm | 2020 | 장지에 채색

Garden  45 x 65cm  | 2020 | 장지에 채색

Oasis  24 x 33cm  | 2019 | 장지에 채색

모든 시간의 메아리  24 x 33cm  | 2019 | 장지에 채색


30대의 소영에게

 작가는 무의식 속에 깊이 스민 일상의 감정과 기억의 파편들을 익숙하면서도 낯선 풍경으로 나타낸다. 작가는 이러한 정경(情景)을 통해 사회적 정서와 자아의 표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작가는 뮤즈의 이야기를 듣고 공감하며 자신의 경험을 떠올렸다. 조금은 무모하고 막연했던 10대를 거쳐, 20대가 되면 그저 찬란하고 푸른 봄날이 펼쳐질 것 같았다. 20대의 청춘은 ‘어른’ 이라는 이름을 감당하기엔 서툴고 여렸기에 작가는 때때로 스스로를 있는 그대로를 직시하고 받아들이기 부끄러워 외면하고, 남들과 같지 않음에 완전하지 못함에 절망하기도 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그 찬란한 날 것의 시간이야말로 온전한 ‘나’를 품을 수 있게 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지금의 바람 같은 날들도 언젠가 지난 시간의 궤적이 되리라” 아마도 삶이라는 길 위에서 바람은 어딘가로부터 끊임 없이 불어올 것이다. 비와 모진 바람을 온몸으로 맞아내며 맹렬히 피어나는 들꽃처럼, 당신 또한 마음의 들판 가득 꽃을 피워 은은한 향을 뿜을 수 있기를 소망한다. 

 

최윤정ㅣ회화

illusion38 (환영38)

145.5 x 97cm | 2020 | Oil on canvas


20대 중후반의 아라에게

 작가의 <ILLUSION> 회화 작업은 일상 공간에서 발견되는 빛과 그림자의 찰나적이고 환영적인 이미지를 포착함으로써 시작된다. 어느 날 작가는 매일 오고 가는 차갑고 딱딱한 공간에서, 작은 바람에 일렁이며 영롱하게 빛나는 나무의 빛과 그림자를 마주한다. 그 현상이 공간 안에 잠시 머무를 때, 그 장소가 처음인 듯 새롭고 신비로워 한동안 멍하니 그것들을 바라보았고 그 따스한 경험으로 인해 지루하고 힘들었던 날들에 대한 위로와 어떤 순간이 가진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고 전한다. 이처럼 작가는 매일 반복되는 평범한 일상일지라도 주변에 반짝거리는 빛들과 같이 우리는 매 순간 흔들리며 빛나고 있음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작가는 뮤즈가 산책을 좋아하고, 느리지만 천천히 꿈을 향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것에 영감을 받았다. 그래서 뮤즈에게서 연상되는 색감과 빛 그림자를 표현했다. 작가는 뮤즈와 관객에게 에메랄드빛 바다가 주변에 당장 보이지 않더라도, 평소에 길을 걷다 발견하는 사소한 작은 빛의 일렁임 또한 따스한 위로가 될 수 있다는 시선을 선물해주고자 한다. 작가는 멋진 꿈을 갖고 차근차근 나아가는 뮤즈가 분명 당당하고 밝은 모습으로 꿈을 이루고 많은 이들에게 에너지를 주는 사람이 될 것이라 믿는다


윤성ㅣ일러스트

마음 다림질 (Ironing My Mind)   42 x 59.4 cm | 2020 | Digital print

새벽 친구 (Midnight Companion)   42 x 59.4 cm | 2017 | Digital print

기억 쏟기 (Disgorge Bad Memories)   42 x 59.4 cm | 2017 | Digital print

마음의 집 (Relaxing Time_Home)   42 x 59.4 cm | 2019 | Digital print


20대 초반의 소미에게

 작가는 착하고 바른 뮤즈의 마음속 분란의 이야기에 중점을 두고 그가 자신의 마음을 마주하길 바라며 작업했다. 그래서 전시된 4개의 그림에 <내 마음 마주하기>라는 큰 제목을 붙였다.

<마음 다림질 (Ironing My Mind)>

외출을 위해 옷을 다리듯, 자신의 마음도 다리는 소녀의 모습. 옷 형태인 창의 바깥쪽은 밝은 면을, 창의 안쪽은 소녀의 어두운 내면을 뜻하며 뮤즈의 마음속 분란의 이야기를 담았다.

<새벽 친구 (Midnight Companion)>

 새벽에 오롯이 방 안에서 보내는 시간을 좋아하는 소녀, 평소 밝고 모두에게 긍정적인 그녀에게 이 시간 만큼은 자신만이 유일한 친구일 것이다.

<기억 쏟기 (Disgorge bad memories)>

“나쁜 추억은 행복의 홍수 아래에 가라앉게 해. 네게 바라는 건 그게 다야. 수도꼭지를 트는 건 네 몫이란다.”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 나오는 이 대사가 작가의 마음에 깊게 남아 작업한 그림이다. 뮤즈와 뮤즈의 가족이 어려운 일들을 함께 마주하고 극복하길 바라며 이 영화를 뮤즈와 관객들에게 추천한다.

<마음의 집(Relaxing time_Home)>

 타인으로부터 문과 벽으로 자신을 보호하지 않아도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는 공간. 서로에게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어 쉴 자리를 내어주는, 소녀가 꿈꾸는 공간. 그리고 소녀의 꿈 꾸는 마음을 그렸다.


“슬프고 우울한 감정을 모른 척, 미워하지 말자. 기쁨만이 전부가 아니니까.

생각과 마음의 괴리감이 당신을 지치게 하기 전에 당신의 진짜 마음을 마주하고 충분히 보듬어주길, 그리고 다시 일어나길.”


된다ㅣ웹툰

잘 하고 있어

Digital print | 2020 

97x97cm | 100x80.3cm | 100x65.1cm | 80.3x130.3cm


20대 초반의 소미에게

 작가는 본인의 경험을 통해 그의 뮤즈인 소미에게, 또 이 만화를 보는 모두에게 하고 싶은 말을 전한다. 작가는 미용 만화를 그리며 많은 사람과 소통해왔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으며 인플루언서의 활동도 해온 그이지만, 때때로 떨어지는 자존감과 자신에 대한 고민은 그를 힘들게 하기도 한다. ‘어떻게 나 자신을 온전히 지킬 수 있을까?’에 대한 작가의 근본적 고민은 뮤즈 소미의 인터뷰를 통해 작은 해답을 얻는다.

 뮤즈가 부모님께 가장 듣고 싶었지만 듣지 못했던 “잘하고 있어”라는 안정적인 말. 마지막 컷에 등장한 인물은 관객이기도 하고 뮤즈의 부모님, 또는 뮤즈에게 큰 의지가 되었던 할머니, 그리고 작가 본인일 수도 있는 복합적 인물이다. 이 만화를 통해 뮤즈뿐만 아니라 관객들에게도 “지금 잘하고 있다”는 위로의 메시지를, 소미에게 큰 의미였던 색상인 노란색과 ‘포옹’이라는 행위로 전하고자 한다. 


다음 씬으로 넘어가기

S#2 꿈과 현실